티스토리 뷰



대설 대비 국민행동요령 필수 체크사항 총정리(대설예보 대설특보 대설 이후)

 

겨울철 대설(폭설)이 발생하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따르고, 교통사고나 시설물 파손 등 다양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리 대비하고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설 시 꼭 알아야 할 국민행동요령을 총정리해보겠습니다.

 

반응형

 

❄️ 1. 대설 예보 전, 미리 준비할 사항

 

날씨 정보 확인하기

  • 기상청 홈페이지, 뉴스, 재난문자 등을 통해 대설주의보·경보 발령 여부를 체크하세요.
  • 특히 눈이 많이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외출 및 이동 계획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꿀팁:
✔ 긴급 상황 대비 비상연락망 준비 (가족, 이웃과 소통 필수!)
 TV 및 스마트폰(안전디딤돌앱)으로 기상 예보 수시 확인하기

 

편리하게 '안전디딤돌앱'을 설치하실 수 있도록 마련해두었습니다!

 

안전디딤돌 앱(구글플레이)
바로가기
안전디딤돌 앱(앱스토어)
바로가기

 

 

비상 물품 준비하기

  • 정전, 단수 등에 대비해 비상식량, 손전등, 보조 배터리, 약품, 방한 용품 등을 준비하세요.
  •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스노우체인, 삽, 모래(또는 염화칼슘), 응급 키트를 미리 챙겨두세요.

 

주변 시설물 점검하기

  • 옥상, 베란다, 배수구, 보일러 배기관을 점검하여 눈이 쌓이거나 얼어붙지 않도록 대비하세요.
  • 비닐하우스, 간판, 지붕 등은 강설 시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붕괴될 위험이 있으므로 사전 점검이 필요합니다.

 

❄️ 2. 대설 중, 이렇게 행동하세요!

 

불필요한 외출 자제하기

  • 눈길은 매우 미끄럽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만약 외출이 불가피할 경우, 미끄럼 방지 신발 착용 및 보폭을 줄여서 걷기를 실천하세요.

 

운전 시 주의사항

  • 스노우체인을 반드시 장착하고, 저속 운전하며 급출발·급제동을 피하세요.
  • 차간 거리를 평소보다 2~3배 이상 길게 유지하여 안전을 확보하세요.
  • 결빙된 도로(블랙아이스) 구간에서는 핸들을 급하게 돌리지 말고 천천히 진행하세요.

 

건물 및 시설물 관리

  • 눈이 쌓이면 주택, 건물의 출입구, 옥상, 배수로 등을 수시로 점검하고 치우기가 필요합니다.
  • 낙상사고 방지를 위해 집 앞, 건물 출입구에 모래나 염화칼슘을 뿌려 미끄럼을 방지하세요.

 

 

❄️ 3. 대설 이후, 반드시 해야 할 조치

 

도로 및 보행로 점검

  • 대설 후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도로가 얼어 블랙아이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행 및 운전 시 주의하세요.
  • 마을 공동도로, 골목길 등에 제설 작업을 적극 참여하여 2차 피해를 예방하세요.

 

건물 붕괴 및 고드름 주의

  • 지붕 위에 쌓인 눈이 녹으면서 고드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제거 작업을 하거나 위험 지역을 피하세요.
  • 노후된 건축물, 비닐하우스 등은 붕괴 위험이 크므로 안전 점검 후 접근 금지하세요.

 

난방 기구 안전 관리

  • 한파와 함께 찾아오는 대설 이후에는 보일러 배기관과 가스 배출구가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하세요.
  • 전기난로, 온열기 사용 시 화재 예방을 위해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을 자제하세요.

 

❄️ 4. 대설 시 꼭 기억해야 할 긴급 연락처

 

  • 기상정보 확인: 기상청 131
  • 도로 교통상황: 한국도로공사 1588-2504
  • 제설 작업 문의: 해당 지역 시·군·구청
  • 긴급 재난 신고: 소방서 119
  • 차량 고립 및 사고: 경찰서 112

 

눈 내리는 겨울 풍경은 아름답지만, 대설로 인한 피해는 절대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됩니다. 사전에 철저히 대비하고, 행동요령을 숙지하여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합시다. 대설 예보가 있다면 위 내용을 꼭 실천하며 사고를 예방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한파 대비 국민행동요령 필수 체크사항 총정리(발생전 발생시 발생후)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한파는 건강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특히 노약자, 어린이, 야외 근로자 등 한파 취약계층은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한파 대비 국민행동요

jjunee110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