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무역용어 총정리(+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필수 용어)

    무역을 처음 접하면 용어가 너무 많아서 머리가 어질어질할 수 있음다. 🤯
    EXW, FOB, CIF… 이게 다 뭐람? ㅋㅋ
    무역을 하려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기본 개념과 핵심 용어들을 한 번에 정리해드리겠슴미다!
    이거만 알아도 무역 관련 계약서나 서류 볼 때 ‘어, 이거 어디서 본 거 같은데?’ 할 거임!

     

    1. 무역 거래 기본 용어 🌐

     

    ✅ Incoterms(인코텀즈)란?

     

    국제 무역에서 누가 어떤 책임을 가지는지 정해둔 규칙!
    운송비, 보험, 통관 등의 책임이 어디까지인지 구분해주는 역할을 함다.
    대표적인 인코텀즈 몇 개만 알아도 무역 기본은 잡힌다구요!

     

    인코텀즈 의미 설명
    EXW (Ex Works) 공장인도조건 판매자가 공장이나 창고에서 제품을 인도하면 끝! 이후 모든 비용과 책임은 구매자가 부담
    FOB (Free On Board) 본선 인도조건 판매자가 선적까지 책임지고, 이후부터는 구매자 책임
    CIF (Cost, Insurance & Freight) 운임 및 보험료 포함 조건 판매자가 운송비와 보험료까지 부담, 목적지 항구까지 책임
    DAP (Delivered At Place) 도착지 인도조건 판매자가 지정된 장소까지 운송 책임, 이후부터 구매자 부담

     

    📌 기억할 점
    EXW는 판매자가 거의 책임 없음, 반면 DAP는 판매자가 거의 다 책임짐!
    FOB랑 CIF는 바닷길(해상운송)에서 많이 쓰이는 조건! 🌊

     

    2. 수출입 관련 필수 용어 📦

     

    ✅ L/C (Letter of Credit, 신용장)

     

    은행이 보증해주는 결제 방식!
    수출자가 물건을 보냈는데 돈을 못 받을 걱정을 줄일 수 있음.
    신뢰가 낮은 거래에서 많이 씀다.

     

    ✅ B/L (Bill of Lading, 선하증권)

     

    선박을 통해 화물을 보낼 때 받는 일종의 "영수증" + "소유권 증명서"!
    B/L 없으면 수입자가 화물을 못 찾음ㅠㅠ

     

    ✅ Packing List (포장 명세서)

     

    물품의 개수, 중량, 포장 방식 등을 상세히 적은 서류!
    세관에서 검토하는 필수 서류 중 하나임다.

     

    ✅ HS Code (Harmonized System Code, 품목분류코드)

     

    국제적으로 동일한 제품 분류 코드!
    세금 계산할 때 필요해서 꼭 알아야 함.

     

    3. 운송 관련 용어 🚢🚛

     

    ✅ Freight Forwarder (포워더)

     

    수출업자가 직접 운송을 안 하고, 대신 운송을 맡아주는 업체!
    화물 예약, 통관, 서류 작업 등 귀찮은 거 다 해줌!

     

    ✅ Demurrage (체선료)

     

    컨테이너를 너무 오래 항구에 두면 추가로 내야 하는 비용. 😭
    운송 일정 잘못 짜면 쓸데없는 돈 나가니까 조심해야 함다.

     

    ✅ FCL vs LCL

     

    • FCL (Full Container Load): 한 컨테이너를 한 업체가 다 씀
    • LCL (Less than Container Load): 여러 업체가 컨테이너를 나눠서 씀

    FCL이 단가도 싸고 리스크도 적은데, 물량이 많아야 가능함!

     

    4. 관세 & 통관 관련 용어 💰

     

    ✅ Tariff (관세)

     

    수입 제품에 붙는 세금! 나라마다 다 다름.
    FTA(자유무역협정)가 있으면 관세가 아예 없거나 낮아질 수도 있음.

     

    ✅ Duty-Free (면세)

     

    관세를 내지 않는 상품!
    면세점에서 물건 살 때 생각하면 됨. ✈️

     

    ✅ Customs Clearance (통관)

     

    세관에서 제품을 검사하고, 통과시켜주는 과정!
    통관 지연되면 무역 일정 다 꼬이니까 신경 써야 함다.

     

    5. 무역 결제 & 금융 관련 용어 💳

     

    ✅ T/T (Telegraphic Transfer, 전신환 송금)

     

    일반적인 해외 송금 방식.
    수입자가 미리 돈을 보내야 해서 수출자가 좋아하는 결제 방식!

     

    ✅ D/P (Documents Against Payment, 지급도 조건)

     

    수입자가 돈을 내야 선적 서류를 받는 방식.
    "돈 내기 전까지 물건 못 찾아감!" 느낌.

     

    ✅ D/A (Documents Against Acceptance, 인수도 조건)

     

    수입자가 어음을 발행하면, 나중에 결제할 수 있는 방식.
    일단 물건 받고 나중에 돈 냄! 하지만 수출자 입장에서는 리스크 있음.

     

    무역용어 더 알아보기(한국무역협회)

     

    🎯 무역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점!

     

    인코텀즈를 알면 누구 책임인지 이해할 수 있음!
    L/C, B/L, Packing List 같은 서류가 무역에서는 필수!
    FCL vs LCL 잘 이해해서 물류비 아끼기
    관세와 통관 절차를 미리 파악해서 지연 피하기
    T/T, L/C, D/P 등 결제 방식에 따라 리스크 다름

     

    이 정도만 이해해도 무역 기본 개념은 완벽히 습득! 🎉
    무역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하나씩 익혀가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영어 약어 총정리(LOL, DM, MRI, AI, ETF, LCC 등)

    영어를 공부하거나 해외 자료를 볼 때, 혹은 일상에서 영어를 접할 때 자주 보이지만 헷갈리는 영어 약어가 많습니다. 특히, 비즈니스, SNS, IT, 건강,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어 약어가 자주

    jjunee1101.tistory.com